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광주 시내버스 한해 1천400억원 적자 책임·원인 논란

노선 개편·예산 절감 등 적자 구조 개선 필요성 지적

등록일 2025년06월10일 06시05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광주 시내버스 노조가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전면 파업에 돌입했지만 1천400억원에 달하는 운영 적자가 협상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9일 광주 시내버스 노사에 따르면 지난해 10개 버스회사가 97개 노선, 시내버스 1천40대를 운영하는 데 들어간 비용은 모두 2천498억원.

이 중 60%인 1천500억원이 인건비다.

승객들에게 받은 요금으로 벌어들인 수익금을 제외하더라도 1천402억원의 적자가 발생해 광주시가 고스란히 시민들의 세금으로 메꿨다.

 

광주시가 보존해준 시내버스 운영 적자 규모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2007년 준공영제를 시작했을 때 196억원에서 2020년에는 1천189억원으로 10배 가까이 늘어나며 '돈 먹는 하마'라는 오명이 붙었다.

 

사측은 운영 적자를 이유로 노조가 요구하는 임금 8.2% 인상(4호봉 기준 월 34만원) 등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시민들의 세금으로 버스 운행이 유지되고 있는 만큼 대폭 인상을 하기 어렵다는 취지다.

 

그러나 노조는 운영 적자의 책임을 노동자에게 전가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맞서고 있다.

 

최소한 도시 생활 근로자의 임금 수준을 보장해달라는 요구가 과다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노사는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면서도 협상의 여지는 열어두고 있다.

 

노조는 사측에 협의안을 먼저 가져올 것을 요구하고 있고, 사측은 우선 파업을 중단하고 협상하자고 설득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협상이 일단락되더라도 막대한 운영 적자 상황을 개선하지 않으면 언제든 노사 갈등과 파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운송업계 관계자는 "임금이 부족하다는 노동자들의 요구와 적자 상황에 놓인 사측의 어려움은 결국 늘어나는 적자 구조를 해소하지 않으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며 "노선 개편이나 예산 절감 대책 등 근본적으로 준공영제에 대한 체질 개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류태환 대기자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연예 스포츠 플러스 핫이슈

UCC 뉴스

포토뉴스

연예가화제

기부뉴스

여러분들의 후원금으로
행복한 세상을 만듭니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