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탄핵 정국"시에 공무원 대탈출 ?"…광주·전남 공무원, 4월 초 연가 ‘쇄도’

연휴도 아닌데 수백 명씩 자리 비워…민원 공백·정치적 눈치보기 논란도

등록일 2025년05월08일 08시05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지난 4월 초, 전남도청과 광주시청 공무원 수백 명이 이례적으로 연가를 쏟아내며 ‘집단 휴가’ 양상이 벌어진 가운데, 당시 전국을 강타한 탄핵 정국과 맞물려 공직사회의 기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전라남도가 정보공개를 통해 밝힌 자료에 따르면,
▲4월 3일 243명, ▲4일 428명, ▲7일 270명, ▲8일 259명, ▲9일 292명 등 총 1,492명이 연가를 사용했다.

 

광주시 역시 ▲3일 54명, ▲4일 160명, ▲7일 109명, ▲8일 45명, ▲9일 44명으로 총 412명의 공무원이 자리를 비웠다. 특히 4월 4일은 양 기관 모두 가장 많은 연가자가 몰렸다.

 

당시 상황은 단순한 ‘징검다리 연휴’ 이상의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4월 초는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촉구 시위와 여야 대립이 극에 달했던 ‘탄핵 정국’의 한복판이었다. 이에 일부에서는 “정치적 부담을 피하기 위한 휴가 러시”, “정국 혼란에 따른 공직기피 현상”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광주 동구 주민 A씨는 “서류 발급 때문에 구청에 갔더니 담당자들이 없다고 해서 다음날 다시 방문해야 했다”며 “행정이 마비되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한 광주시 관계자는 “연가 사용은 권리이지만, 탄핵 분위기로 내부 분위기가 어수선한 것도 사실이었다”며 “특정 시기에 연가가 집중되지 않도록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정국의 불안정성 속에서 공직자들이 눈치를 보는 상황은 적절치 않다”며 “공직 기강 유지와 행정 연속성을 위한 총괄 조율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전남도청과 광주시는 “민원부서는 연가 분산 계획을 사전에 조율해 업무 공백이 없도록 관리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류태환 대기자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연예 스포츠 플러스 핫이슈

UCC 뉴스

포토뉴스

연예가화제

기부뉴스

여러분들의 후원금으로
행복한 세상을 만듭니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 (명)